안녕하세요 믿을 수 있는 캐나다 현지 이주공사 노프라블럼 컨설팅입니다. 오늘은 캐나다 인도인 쿼터규정관련한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최근 캐나다 이민부 장관 마크 밀러(Marc Miller)는
캐나다의 고등 교육 기관들에게
특정 국가, 특히 인도인에 집중된 유학생 모집 전략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국가에서 유학생을 유치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국가별 쿼터제가 시작된다면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의 학생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열릴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로 보여지며,
2025 캐나다 이민에도 긍적적인 영향을 줄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이 소식 자세하게 한번 알아보실까요~?


캐나다 이민부 장관 마크 밀러(Marc Miller)는
캐나다의 고등 교육 기관들에게
특정 국가, 특히 인도에 집중된 유학생 모집 전략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국가에서 유학생을 유치할 것을 촉구하였습니다.
캐나다 인도인 규정, 다양한 국가에서 유학생 유치

밀러 장관은 “대학과 컬리지들이 특정 국가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국가에서 유학생을 모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공부함으로써
더 풍부한 학문적 교류와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다고 덧붙혔습니다.
또한, 특정 국가 출신 학생들에 대한 의존도를 낮춤으로써
캐나다의 교육 기관들은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한국, 일본, 베트남, 태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유학생을
적극 유치한다면 교육 환경이 더욱 풍부해지고,
학생들에게도 더 많은 기회가 열릴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토론토 메트로폴리탄 대학교(TMU)의 국제 학생 등록 담당
이사인 아이작 가르시아-시튼(Isaac Garcia-Sitton)은
“유학 비자 발급이 지연되거나 자동화된 심사 시스템이 우수한 학생들을
부당하게 거절하는 경우가 많아 유학생 유치 다변화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 국가 출신 학생들이 비자 발급 지연과
높은 거절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캐나다 정부가 다양한 국가에서 유학생을 유치하려면,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도 덧붙혓습니다.
한국 학생들에게 새로운 기회
밀러 장관은 캐나다가 미국과 달리 반이민 정책을 펼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교육 업계 전문가들은 캐나다의 지속적인 정책 변화와
비자 문제로 인해 유학생들이 다른 국가를 고려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비자 발급 절차 간소화
☑️공정하고 효율적인 심사 시스템 도입
☑️안정적인 장기 유학 정책 마련
이 필요할것으로 보여집니다.

2023년을 기준으로 캐나다 국제 유학생 중 약 41%가 인도 출신이며,
중국(10%)과 필리핀(5%)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그러나 캐나다 정부가 다양한 국가에서 유학생 유치를 한다면,
한국 학생들에게도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 학생들은 학업 성취도가 높고,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캐나다 대학들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우수한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가능성이 큽니다.
앞으로 비자 발급 절차가 개선된다면
한국 학생들에게는 더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입니다.
이러한 국가별 쿼터제는 퀘백주 기술이민 에서 한차례 작용된바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비자를 시작으로 연방이민의 경우에도
이러한 국가별 쿼터제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현시점 특정국가가 아닌 나라의 국민의 경우
2025 캐나다 이민을 계획하시는 분들에게 좋은 소식이 될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퀘백주 국적별 쿼터제 확인하기 👇

임시거주자들에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지금! 믿을 수 있는 캐나다 현지 이주공사와
함께 여러분들의 2025 캐나다 이민을 계획해보세요 ☝️
캐나다 이민/유학등 도움이 필요 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1:1 상담 시작하기 👇
👇간단 신청서 작성하고 무료상담 받기👇
👇실제 승인후기 확인하러가기👇

